본문 바로가기
역사

[신라] 11대 조분 이사금(助賁 尼師今)

by [悠悠自適] 2025. 2. 21.
반응형

 

신라 11대 조분 이사금(助賁 尼師今)
출생 ? ~ 247년 5월
재위 230년 3월 ~ 247년 5월(17년 2개월)
가족 부인 2명, 자녀 2남 2녀

생애
조분 이사금은 벌휴 이사금의 장남 골정의 아들이다. 
즉 벌휴 이사금의 손자이고, 모친은 구도 갈문왕의 딸인 옥모부인 김씨이다.
10대 내해 이사금과는 사촌관계이자, 사위이다.
내해 이사금이 죽기전 유언으로 사위 조분으로 왕위를 계승하게 하여 230년 3월, 신라 11대 왕에 올랐다.
현명하고 결단력이 있어 사람들이 그를 두려워하고 공경했다.

230년(재위 원년), 연충을 이찬으로 제수하고, 군사와 국정의 일을 맡겼고, 7월에는 시조 사당에 배알했다.
231년 7월, 이찬 우로를 대장군으로 삼아 감문국을 토벌하게 하고 그 지역을 군으로 삼았다.
232년 4월, 왜인들이 갑자기 쳐들어와 금성을 포위하여 왕이 친히 출전하자 적은 궤멸되고 도주했다.
경기병을 보내 그들을 추격해 1천여명을 죽이고 사로잡았다.

233년(재위 4년) 4월, 태풍으로 기와가 날아갔고, 5월에는 왜가 동쪽 변경을 침범했다.
7월, 이찬 우로가 사도에서 왜놈들과 전투를 벌일때, 바람을 이용해 불을 질러 왜나라 배를 불태워 왜적들이 모두 물에 빠져 죽었다.
235년 1월, 동쪽 지역을 순행하며 백성들을 위로하고 구휼했다.

236년(재위 7년) 2월, 골벌국의 왕 아음부가 무리를 거느리고 와서 항복했다.
그에게 집과 논밭을 하사하고 그 땅을 군으로 삼았다.
237년 8월, 황충이 일어 곡식을 해쳤다.
240년, 백제가 서쪽 변경을 침공했다.

242년(재위 13년), 고타군에서 쌀이 많이 달린 벼 이삭을 진상했다.
244년 1월, 아찬 우로를 서불한(각간과 더불어 이벌찬의 호칭)으로 삼아 군사 제반의 일을 맡겼다.
245년 10월, 고구려가 북쪽 변경을 침공해 우로가 군대를 거느리고 출병하여 그들을 공격했으나 이기지 못하고 퇴각하여 마두의 목책을 지켰다.
그날 밤 몹시 추웠는데, 우로가 병졸들을 위로하고 몸소 나무를 때어서 따뜻하게 해주니 병사들이 감격했다.

246년(재위 17년) 10월, 동남쪽에 흰 기운이 있었는데, 마치 한필의 명주같았다.
11월에 도읍에 지진이 일어났다.
247년 5월, 조분 이사금이 생을 마감했다.

 

가족관계(조분 이사금 가계도)

· 왕비
내해 이사금의 딸인 아이혜부인. 조분 이사금과는 5촌 사이이다.

· 명원부인
석우로의 부인이자 16대 흘해 이사금의 모친.
석우로는 제10대 내해 이사금의 아들로 명원부인과는 6촌 관계이다.

· 광명부인
13대 미추 이사금의 부인.

· 후비 박씨
갈문왕 내음의 딸이자 14대 유례 이사금의 모친.
밤에 길을 걷다가 별빛이 입안으로 들어와 유례를 임신하게 되었고, 유례가 태어나는날 저녁에 기이한 향기가 방안에 가득찼다.

· 유례
14대 유례 이사금편 참고.

· 걸숙
15대 기림 이사금의 부친. 모친이 왕비인지 후비인지 정확한 기록은 없다.

 

주요사건
· 고구려와 신라의 전쟁
245년 10월, 고구려 동천왕이 군사를 출병하여 신라 북쪽 변경을 침공했다.
이에 신라는 이벌찬 우로가 군대를 지위하며 대항했지만 역부족이었다.
우로는 마두책(경기도 포천)으로 물러나 대오를 정비하였다.
밤에는 몹시 추웠는데, 우로는 직접 장작불을 피워 병사들을 위로했다.
이렇게 고구려와 신라가 대치중인 상황에 고구려에 긴박한 일이 벌어진다.

246년, 위나라와의 관계가 좋지 않던 고구려에 8월 유주자사 관구검이 침입해 왔다.
고구려는 처음에는 대승했으나, 동천왕이 자만하여 크게 패하고 수도까지 함락당하는 일이 벌어지고 동천왕은 동쪽으로 피신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신라와의 관계는 소홀할 수 밖에 없었고, 교착상태에 빠졌다.


조분 이사금 재위당시 삼국시대 연표

조분 이사금은 내해 이사금의 태자인 우로를 제치고 왕에 올랐다.
다른 왕과 마찬가지로 주변국과의 전쟁과 자연재해에서 벗어나지 못했지만, 백성들을 위하는 정책을 했다.
동시대에 고구려는 동천왕, 백제는 구수왕, 사반왕, 고이왕이 재위하였다.

신라 왕 계보
혁거세 거서간-남해 차차웅-유리 이사금-탈해 이사금-파사 이사금-지마 이사금-일성 이사금-아달라 이사금-벌휴 이사금-내해 이사금-조분 이사금-첨해 이사금-미추 이사금-유례 이사금-기림 이사금-흘해 이사금-내물 이사금-실성 이사금-눌지 마립간-자비 마립간-소지 마립간-지증 마립간-법흥왕-진흥왕-진지왕-진평왕-선덕여왕-진덕여왕-태종 무열왕-문무왕-신문왕-효소왕-성덕왕-효성왕-경덕왕-혜공왕-선덕왕-원성왕-소성왕-애장왕-헌덕왕-흥덕왕-희강왕-민애왕-신무왕-문성왕-헌안왕-경문왕-헌강왕-정강왕-진성여왕-효공왕-신덕왕-경명왕-경애왕-경순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