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9대 벌휴 이사금(伐休 尼師今)
출생 ? ~ 196년 4월
재위 184년 3월 ~ 196년 4월(12년 1개월)
가족 부인 1명, 자녀 2남
생애
벌휴 이사금은 4대 탈해 이사금의 아들인 각간 구추와 지진내례부인 김씨의 아들이다.
즉, 탈해 이사금의 손자이다.
184년 3월, 아달라 이사금이 후사없이 사망하자 신라 9대 왕에 올랐다.
벌휴왕은 바람과 구름으로 점을 쳐서 홍수와 가뭄, 풍년과 흉년을 미리 알 수 있었고, 사람의 그릇됨과 올바름을 알 수 있어 성인이라고 불렀다.
185년(재위 2년) 1월, 시조 사당에 제사를 지내고 대사면령을 내렸다.
2월에는 파진찬 구도와 일길찬 구수혜를 좌우 군주(軍主)로 임명하여 소문국을 정벌했다.
186년 1월, 주군을 순행하며 풍속을 살폈고, 7월에는 남신현에서 쌀이 많이 달린 벼 이삭을 진상했다.
187년 3월, 농사철에 노동력을 빼앗는 토목공사를 못하게 했고, 10월에 북쪽에 폭설이 내렸다.
188년(재위 5년) 2월, 백제가 쳐들어와 모산성을 공격했는데, 파진찬 구도를 출병시켜 그들을 막게했다.
189년 7월, 구도와 백제군이 구양지역에서 전투를 벌여 승리하고, 5백여 수급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
190년 8월, 백제가 서쪽 원산향을 습격하고, 부곡성을 포위했다.
그러자 구도가 기병 5백을 거느리고 그들을 공격했고, 백제군은 거짓으로 도주했다.
그리고 구도는 와산에 이르기까지 추격했다가 백제 군사에게 패배하였다.
이에 왕은 구도의 실책이라 생각하고 구도를 부곡성 성주로 벼슬을 낮추고 설지를 좌군주로 삼았다.
192년(재위 9년) 1월, 국량을 아찬으로, 술명을 일길찬으로 임명했다.
3월에는 도읍에 3척 깊이의 눈이 왔고, 5월에는 홍수로 십여곳의 산이 붕괴되었다.
193년 3월, 한기부 여성이 한번에 다섯쌍둥이(4남 1녀)를 출산했고, 10월에는 왜놈들이 대기근으로 식량을 구하러 천여명이 왔다.
196년 2월, 궁실을 중수했고, 3월에는 가뭄, 4월에는 궁궐 남쪽 큰 나무에 벼락이 쳤고, 금성 동문에서도 벼락이 쳤다.
벌휴 이사금이 생을 마감했다.
가족관계(벌휴 이사금 가계도)
· 왕비
왕비에 대한 기록은 없다.
· 골정
장남이자 11대 조분, 12대 첨해 이사금의 아버지.
후에 세신 갈문왕으로 봉해졌고, 부인은 옥모부인 김씨이다.
· 이매
차남이자 10대 내해 이사금의 아버지. 부인은 내례부인이다.
주요사건
· 벌휴 이사금의 신분과 석씨 왕조
삼국사기에는 벌휴 이사금은 4대 탈해 이사금의 아들인 각간 구추와 지진내례부인 김씨의 아들로, 탈해 이사금의 손자라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탈해 이사금은 80년 8월에 사망했고, 벌휴 이사금은 그로부터 104년이 지난 184년에 9대 왕에 즉위했다.
손자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고,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삼국사기에 기록은 없지만, 앞선 아달라 이사금편에서도 얘기했듯이 아달라 이사금의 왕비인 내례부인 박씨와 벌휴의 둘째 아들 이매와의 불륜사이도 의심해 볼 수 있다.
즉, 아달라 이사금 재위 말년에 벌휴 세력이 왕비 세력과 연대해서 반정으로 왕권을 잡았을 가능성도 있다.
이후 석씨 왕조는 4대 석탈해를 시작으로, 9대 석벌휴, 10대 석내해, 11대 석조분, 12대 석첨해, 14대 석유례, 15대 석기림, 16대 석흘해(총 8명)까지 이어진다.
13대 미추왕도 11대 석조분의 사위로 왕위를 이어받은 것을 감안하면, 석씨 왕조는 184년부터 356년까지 172년간 지속되었다.
벌휴 이사금 재위당시 삼국시대 연표
벌휴 이사금은 무속에 재능이 있고, 백성들이 성인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하지만 백제와의 전쟁, 자연재해를 벗어나지는 못했고, 두 아들마저 본인보다 먼저 사망하는 불운을 겪었지만, 석씨 왕조를 열었다.
동시대에 고구려는 고국천왕, 백제는 초고왕이 재위하였다.
신라 왕 계보
혁거세 거서간-남해 차차웅-유리 이사금-탈해 이사금-파사 이사금-지마 이사금-일성 이사금-아달라 이사금-벌휴 이사금-내해 이사금-조분 이사금-첨해 이사금-미추 이사금-유례 이사금-기림 이사금-흘해 이사금-내물 마립간-실성 마립간-눌지 마립간-자비 마립간-소지 마립간-지증왕-법흥왕-진흥왕-진지왕-진평왕-선덕여왕-진덕여왕-태종 무열왕-문무왕-신문왕-효소왕-성덕왕-효성왕-경덕왕-혜공왕-선덕왕-원성왕-소성왕-애장왕-헌덕왕-흥덕왕-희강왕-민애왕-신무왕-문성왕-헌안왕-경문왕-헌강왕-정강왕-진성여왕-효공왕-신덕왕-경명왕-경애왕-경순왕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 10대 내해 이사금(奈解 尼師今) (0) | 2025.02.20 |
---|---|
[신라] 8대 아달라 이사금(阿達羅 尼師今) (0) | 2025.02.18 |
[신라] 7대 일성 이사금(逸聖 尼師今) (0) | 2025.02.14 |
[신라] 6대 지마 이사금(祗摩 尼師今) (0) | 2025.02.13 |
[신라] 5대 파사 이사금(婆娑 尼師今)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