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95

[신라] 34대 효성왕(孝成王) 신라 34대 효성왕(孝成王) 출생 ? ~ 742년 5월 재위 737년 2월 ~ 742년 5월(5년 3개월) 가족 부인 3명, 자녀 없음 생애 효성왕의 이름은 승경(承慶)이고 성덕왕의 둘째 아들이며, 모친은 소덕왕후(炤德王后)이다.  737년 2월, 성덕왕이 사망하자 신라 34대 왕에 올랐다. 3월, 대사면령을 내렸고, 사정부(司正府)의 승(丞)과 좌우의방부(左右議方府)의 승(丞)을 모두 좌(佐)로 개정했다.  이찬 정종을 상대등으로 아찬 의충을 중시로 삼았다. 5월, 지진이 났고, 10월에는 당에 갔던 사찬 포질이 돌아왔다.  738년(재위 2년) 2월, 당 현종이 성덕왕이 훙서(薨逝)했다는 소식을 듣고 오랫동안 애석하게 슬퍼했다.  좌찬선대부(左贊善大夫) 형숙(邢璹)을 홍려소경(鴻臚少卿) 직위를 주어 .. 2025. 4. 11.
[신라] 33대 성덕왕(聖德王) 신라 33대 성덕왕(聖德王) 출생 ? ~ 737년 2월 재위 702년 7월 ~ 737년 2월(34년 7개월) 가족 부인 2명, 자녀 4남1녀 생애 성덕왕의 이름은 흥광(興光)이고, 신문왕의 둘째 아들로 효소왕의 동복동생이다.  본디 이름이 융기(隆基)였으나, 당 현종(玄宗)의 이름과 같아 선천(先天) 연간 이름을 고쳤다.  당서에는 김지성(金志誠)으로 되어있다. 효소왕이 후사 없이 죽자, 나라 사람들이 그를 왕으로 옹립해 702년 7월, 신라 33대 왕에 올랐다. 당나라 측천무후가 효소왕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효소왕을 위해 애도식을 거행하고 2일 동안 조정을 폐했다.  사신을 보내 조문하고 위로했으며, 왕을 신라왕으로 책봉하고 형의 장군과 도독의 작호를 그대로 물려받게 했다. 702년(재위 원년) 9.. 2025. 4. 10.
[신라] 32대 효소왕(孝昭王) 신라 32대 효소왕(孝昭王) 출생 ? ~ 702년 7월 재위 692년 7월 ~ 702년 7월(10년) 가족 기록없음 생애 효소왕(孝昭王)의 이름은 이홍(理洪) 또는 공(恭)이고, 신문왕의 태자이다.  모친은 김씨로 신목왕후이며 일길찬 김흠운(金歆運)의 딸이다. 692년 7월, 신문왕이 사망하자 신라 32대 왕에 올랐다. 당 측천무후가 사신을 파견해 조문(弔問)하고 제사(祭祀) 지냈다.  왕을 신라왕(新羅王) 보국대장군(輔國大將軍) 행좌표도위대장군(行左豹韜尉大將軍) 계림주도독(雞林州都督)으로 책봉하여 관작을 그대로 물려받게 했다. ​좌우이방부(左右理方府)를 좌우의방부(左右議方府)로 이름을 고쳤다. 이는 왕의 존함을 범하기 때문이다.  8월, 대아찬 원선(元宣)을 중시로 삼았다.  고승 도증(道證)이 당나라.. 2025. 4. 9.
[신라] 31대 신문왕(神文王) 신라 31대 신문왕(神文王) 출생 ? ~ 692년 7월 재위 681년 7월 ~ 692년 7월(11년) 가족 부인 2명, 자녀 4남 생애 신문왕의 이름은 정명(政明), 자(字)는 일초(日怊)이다. 문무대왕의 맏아들로 모친은 자의왕후(慈儀王后)이고, 왕비는 김씨로 소판(蘇判) 흠돌(欽突)의 딸이다.  왕이 태자였을 때 그녀를 맞이했고 오랫동안 아들이 없었다. 이후에 부친이 난을 일으킨 것에 연좌(緣坐)되어 궁에서 쫓겨났다.  문무왕 5년(665)에 태자가 되었고, 이때에 이르러 뒤를 이어 즉위했다.  당 고종이 사신을 파견하여 신라왕으로 책봉하고 선왕의 관작을 그대로 물려받게 했다. 681년(​재위 원년) 8월, 서불한 진복(眞福)을 상대등으로 제수했다.   8일, 소판 김흠돌, 파진찬 흥원, 대아찬 진공 .. 2025. 4. 4.
[신라] 30대 문무왕(文武王) 신라 30대 문무왕(文武王) 출생 ? ~ 661년 6월 재위 661년 6월 ~ 681년 7월(20년 1개월) 가족 부인 3명, 자녀 3남 생애 문무왕의 이름은 법민이고 태종 무열왕의 맏아들이다. 661년 6월, 태종 무열왕이 사망하자 신라 30대 왕에 올랐다. 모친은 김씨 문명왕후이고, 소판(蘇判) 서현의 막내딸이며, 김유신의 누이이다.   그의 언니가 꿈에 서형산(西兄山) 정상에 올라서 앉아 오줌을 누었는데 나라 안에 두루 흘렀다.  깨어나서 막내에게 꿈을 말하자 막내가 장난치며 말하길 "내가 언니의 이 꿈을 살게" 그리하여 비단 치마를 주고 값을 치렀다.  여러 날 뒤에 유신이 춘추공과 함께 축국(蹴鞠)을 하다가 그를 밟아 옷의 단추가 떨어졌다.  유신이 말하길 "우리 집이 다행히도 가까이에 있으니 .. 2025. 4. 3.
[신라] 29대 태종 무열왕(太宗 武烈王) 신라 29대 태종 무열왕(太宗 武烈王) 출생 603년 ~ 661년 6월 재위 654년 3월 ~ 661년 6월(7년 3개월) 가족 부인 3명, 자녀 9남4녀 생애 태종무열왕의 이름은 춘추이고 진지왕의 아들 이찬 용춘 또는 용수의 아들이다.  당서(唐書)의 기록에는 진덕여왕의 동생이라고 되어있으나 이는 잘못이다.  모친은 천명부인(天明夫人)으로 진평왕의 딸이며, 왕비는 문명부인(文明夫人)으로 각찬 서현(舒玄, 김유신 부친)의 딸이다.  왕의 외모는 영웅의 위용이 있고 어려서 세상을 구제할 뜻이 있었다. 진덕여왕을 섬겨 이찬의 지위를 지냈고 당 황제가 특진(特進)에 제수했다.  진덕여왕이 돌아가셨을 때 군신들이 이찬 알천에게 섭정을 청했으나 알천은 굳게 사양하며 말하길 "소신은 늙고 가히 칭할 만한 덕행이 없.. 2025. 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