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14대 유례 이사금(儒禮 尼師今)
출생 ? ~ 298년 12월
재위 284년 10월 ~ 298년 12월(14년 2개월)
가족 기록없음
생애
유례 이사금은 11대 조분 이사금의 장남으로 모친은 박씨로 갈문왕 내음의 딸이다.
모진이 일찍이 밤에 길을 걷다 별빛이 입안으로 들어와 임신하게 되었고, 태어나는 날 저녁에 기이한 향기가 방안에 가득 찼다고 한다.
298년 12월, 미추 이사금이 사망하자 신라 14대 왕에 올랐다.
285년(재위 2년) 1월, 시조 사당에 배알했고, 2월에는 이찬 홍권을 서불한(1관등)으로 제수하고 나라의 중요한 업무를 맡게 했다.
286년 1월, 백제가 사신을 보내와 화친을 청했다.
287년 4월, 왜놈들이 일례부를 습격하여 불을 질러 그곳을 불태우고 천명을 사로잡아갔다.
289년 5월, 왜놈이 침략한다는 소문을 듣고 선박을 수리하고 병장기를 수선했다.
290년(재위 7년) 5월, 홍수로 월성이 무너졌다.
291년 1월, 말구를 이벌찬으로 제수했다.
말구는 충성스럽고 지조가 있으며, 지략도 뛰어나 왕이 항상 그를 방문하여 정치의 중요한 사항을 물었다.
292년 6월, 왜놈들이 사도성을 공격해 함락시키니 일길찬 대곡에게 명해 군대를 거느리고 사도성을 구원하도록 했고, 7월에는 가뭄과 황충이 일어났다.
293년(재위 10년) 2월, 사도성을 개축하고 사벌주에 세력이 있는 백성 80여 호를 이주시켰다.
294년 여름, 왜놈들이 쳐들어와 장봉성을 공격했으나 승리하지 못했다.
7월, 다사군에서 쌀이 많이 달린 벼 이삭을 진상했다.
295년(재위 12년) 봄, 왕이 신하에게 "왜놈들이 수차례 우리 성읍을 침범하여 백성들이 편히 살 수가 없다.
나는 백제와 함께 모의하여 일시에 바다를 건너 왜국에 들어가 습격하고자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는가?"하고 물으니,
서불한 홍권이 "우리나라 사람들은 수전에 익숙하지 않아 위험을 무릅쓰고 먼 곳을 정벌하는 것은 예측할 수가 없는 위험이 있기에 염려되옵니다.
하물며 백제는 속임수가 많고, 항상 우리나라를 삼키려는 마음을 가지고 있으니 함께 모의하기도 어려워 염려됩니다."라고 말하자 왕도 옳게 생각했다.
297년(재위 14년) 1월, 지량을 이찬으로, 장흔을 일길찬으로, 순선을 사찬으로 삼았다.
이서고국(가야의 무리)이 쳐들어와서 금성을 공격하여 대규모의 군사로 방어를 했으나 물리치지 못했다.
갑자기 기이한 병사들이 왔는데 그 수가 너무 많아 기록할 수가 없을 정도였고, 병사들이 모두 대나무 잎을 귀에 끼우고 있었다.
우리 군사들과 함께 적을 격파한 뒤, 그들이 어디로 갔는지 알지 못했는데, 혹자가 죽장릉(미추왕릉)에 대나무 잎이 많이 쌓여 있는것을 보고 백성들이 말하길,
"선왕께서 신령스러운 군사들을 보내 전쟁을 도와주신 것이다."라고 하였다.
298년(재위 15년) 2월, 도읍에 짙은 안개로 사람을 분별할 수가 없었고, 5일이 지나서야 개었다.
12월, 유례 이사금이 생을 마감했다.
가족관계(유례 이사금 가계도)
· 가족에 관한 기록없음.
주요사건
· 유례 이사금의 왜국 정벌
신라는 왜나라와 관계가 좋지 못했다.
249년((12대 첨해 이사금 3년) 4월, 10대 내해 이사금의 장남인 서불한 우로가 왜나라 장수인 우도주군에 의해 화형당했는데, 우로의 아내인 명원부인(조분 이사금의 딸)이 미추 이사금이 즉위하고 남편의 복수를 위해 왜나라 사신을 불태워 죽였다.
이 사건으로 왜나라와의 사이가 더욱 좋지 않게되었고, 이런 가운데 유례 이사금이 즉위하게 되었다.
그래서 유례 이사금은 즉위후 왜나라와의 전쟁에 대비해서 백제와 화친을 할 수 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왜나라의 침략을 막지는 못했다.
287년 4월, 292년 6월, 294년 여름, 계속하여 왜나라가 쳐들어오자 295년(재위 12년) 봄, 유례 이사금은 백제와 연합하여 왜나라를 공격하려고 했다.
하지만, 서불한 홍권이 여러 이유를 들며 반대를 하면서 포기를 하였다.
유례 이사금 재위당시 삼국시대 연표
유례 이사금은 백제와의 관계는 비교적 좋았지만, 왜나라와의 전쟁은 피할 수 없었다.
동시대에 고구려는 서천왕, 봉상왕이 재위하였고, 백제는 고이왕, 책계왕, 분서왕이 재위하였다.
신라 왕 계보
혁거세 거서간-남해 차차웅-유리 이사금-탈해 이사금-파사 이사금-지마 이사금-일성 이사금-아달라 이사금-벌휴 이사금-내해 이사금-조분 이사금-첨해 이사금-미추 이사금-유례 이사금-기림 이사금-흘해 이사금-내물 이사금-실성 이사금-눌지 마립간-자비 마립간-소지 마립간-지증 마립간-법흥왕-진흥왕-진지왕-진평왕-선덕여왕-진덕여왕-태종 무열왕-문무왕-신문왕-효소왕-성덕왕-효성왕-경덕왕-혜공왕-선덕왕-원성왕-소성왕-애장왕-헌덕왕-흥덕왕-희강왕-민애왕-신무왕-문성왕-헌안왕-경문왕-헌강왕-정강왕-진성여왕-효공왕-신덕왕-경명왕-경애왕-경순왕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 16대 흘해 이사금(訖解 尼師今) (0) | 2025.03.05 |
---|---|
[신라] 15대 기림 이사금(基臨 尼師今) (0) | 2025.02.28 |
[신라] 13대 미추 이사금(味鄒 尼師今) (0) | 2025.02.26 |
[신라] 12대 첨해 이사금(沾解 尼師今) (0) | 2025.02.25 |
[신라] 11대 조분 이사금(助賁 尼師今) (0)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