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27대 위덕왕(威德王)
출생 525년 ~ 598년 12월
재위 554년 7월 ~ 598년 12월(44년 5개월)
가족 부인 1명, 자녀 1남
생애
위덕왕은 성왕의 장남으로, 이름은 창(昌)이고 554년 7월 성왕의 뒤를 이어 백제 27대 왕에 올랐다.
태자시절부터 아버지인 성왕을 도와 국정에 참여하였고, 554년에 관산성 공격에 선봉에 나섰다.
하지만, 자신때문에 성왕이 사망했다는 죄책감에 승려가 되려고도 했으나, 신하들의 만류에 왕위를 승계하였다.
즉위해 10월에 고구려가 대병을 일으켜 웅천성을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돌아갔다.
561년(재위 8년) 군사를 보내 신라를 공격했으나 패하였고, 사망자가 1천여명이었다.
567년에 진나라에 조공하였고, 570년 북제(北齊) 후주(後主)가 사지절(使持節) 시중(侍中) 거기대장군(車騎大將軍) 대방군공(帶方郡公) 백제왕(百濟王)으로 임명하였다.
또, 571년 북제(北齊) 후주(後主)가 또 왕을 사지절(使持節) 도독동청주제군사(都督東靑州諸軍事) 동청주자사(東靑州刺史)로 삼았다.
577년(재위 24년) 10월, 신라 서쪽을 공격했는데, 신라 이찬 세종이 거느리는 군사에게 패배하였다.
581년 수나라에 조공하고, 수나라 고조가 조서를 내려 상개부의동삼사(上開府儀同三司) 대방군공(帶方郡公)으로 임명하였다.
589년 수나라가 진나라를 평정하고, 배한척이 표류해 탐모라국에 도착했는데, 위덕왕은 재물을 보내고 후하게 대접했다.
또, 사신을 보내 표문을 올려 진나라를 평정한것을 하례했는데, 수나라 고조가 좋아하며 조서를 내렸다.
598년(재위 45년) 9월, 왕변나를 수나라에 보내 조공하면서, 수나라가 요동에서 고구려와 전쟁한다는 소식에 군도(길잡이)가 되겠다고 하였다.
하지만, 수나라 고조는 이미 고구려 영양왕이 복종하기로 해서 용서했다고 하면서, 백제 사신을 후하게 대접하고 돌려보냈다.
그런데, 고구려가 그 사실을 알고 군사를 보내 백제를 공격하였다.
그리고 12월 위덕왕은 생을 마감하였고, 신하들이 의논해 시호를 위덕(威德)이라고 하였다.
삼국사기 위덕왕 기록
주요사건
· 아좌태자와 왜나라 불교전파
일본에 불교를 전파한 나라는 백제이다.
공식적으로 왜나라에 승려를 보낸것은 552년 성왕때였다.
성왕은 금동상 1구와 경전 몇권을 왜나라에 보내 불교를 받아들일것을 권유했다.
하지만, 왜나라의 신하 미려와 연겸자가 전통신앙을 거스른다며 반대했다.
그리고, 왜나라에 역병이 번졌는데 불상때문이라고 주장하자, 흠명천황은 불상을 강물에 버리고 절을 불태워버렸다
이후 백제는 또 왜나라에 불교를 전파하였고, 고구려 승려도 왜나라에 불교를 전파하였다.
일본으로 건너간 아좌태자는 그곳에 머물며 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고, 후에 쇼토쿠 태자의 초상화를 그려주었다.
아좌태자가 일본으로 건너간 이유는 스이코 덴노가 당시 일본 최고의 사찰이었던 아스카사를 완성하자 백제가 이를 축하하기 위한 사절단의 대표로 보낸 것이었다.
가족관계(위덕왕 가계도)
· 왕후
왕후의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 아좌태자
위덕왕의 아들. 삼국사기에는 기록이 없고, 일본서기에 남아있다.
597년 4월, 위덕왕이 아좌태자를 왜나라에 파견하였다.
위덕왕 재위당시 삼국시대 연표
위덕왕은 44년여간 재위하며 74살로 생을 마감했지만, 이렇다할 큰 치세는 없었다.
그리고 위덕왕의 죽음도 석연치 않은 면이 있다. 28대 혜왕 참고.
동시대에 신라는 진흥왕, 진지왕, 진평왕이 재위하였고, 고구려는 양원왕, 평원왕, 영양왕이 재위하였다.
백제 왕 계보
온조왕-다루왕-기루왕-개루왕-초고왕-구수왕-사반왕-고이왕-책계왕-분서왕-비류왕-계왕-근초고왕-근구수왕-침류왕-진사왕-아신왕-전지왕-구이신왕-비유왕-개로왕-문주왕-삼근왕-동성왕-무령왕-성왕-위덕왕-혜왕-법왕-무왕-의자왕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제] 29대 법왕(法王) (0) | 2025.01.24 |
---|---|
[백제] 28대 혜왕(惠王) (0) | 2025.01.23 |
[백제] 26대 성왕(聖王) (0) | 2025.01.21 |
[백제] 25대 무령왕(武寧王) (0) | 2025.01.17 |
[백제] 24대 동성왕(東城王)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