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신라] 3대 유리 이사금(儒理 尼師今)

by [悠悠自適] 2025. 2. 7.
반응형

 

신라 3대 유리 이사금(儒理 尼師今)
출생 ? ~ 57년 10월
재위 24년 9월 ~ 57년 10월(33년 1개월)
가족 부인 1명, 자녀 2남

생애
유리 이사금은 남해 차차웅의 태자로 모친은 운제부인이다.
24년 9월, 남해 차차웅이 사망하고 태자인 유리가 왕에 즉위해야 했지만, 탈해가 덕망이 있어서 그를 추대하고 왕위를 사양하려고 했다.
그러자 탈해가 말하길,
"성인의 지혜를 가진 사람은 치아가 많다고 하니, 떡을 깨물어 시험해 보시지요" 하여, 
유리의 치아 자국이 많아 측근들이 그를 받들어 옹립하고 이사금(尼師今)이라 하였다.
이사금은 방언으로 이빨자국을 말한다.

25년(재위 2년) 2월, 사당에 제사를 지내고 대사면령을 내렸다.
28년 11월, 왕이 나라 안을 순행하다 한 노포가 굶고 얼어죽을 위기에 처하자, 
"내가 보잘것 없는 몸으로 높은 자리에 있으면서 백성들을 잘 돌보지 못하여 노인과 아이들이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나의 죄이다."하며,
옷을 벗어 노파에게 덮어주고 음식을 내어주었다.

또한, 해당 부서에 명해 민가를 방문해 홀아비, 홀어미, 고아, 홀로된 노인, 병든자등 생활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식량을 지급했다.
이 소식을 들고 온 이웃나라 백성들이 많았다.
당시에 편안함을 즐거워하며 민간의 풍속에 도솔가(兜率歌)라는 노래를 최초로 지었는데 가악의 시초이다.

32년(재위 9년) 봄, 6부의 이름을 고치고 성을 하사했다.
양산부(楊山部)를 양부(楊部) 이씨(李氏)로,  
허부(高墟部)를 사량부(沙梁部) 최씨(崔氏)로,
대수부(大樹部)를 점량부(漸梁部) 혹은 모량부(牟梁部) 손씨(孫氏)로,
간진부(干珍部)를 본피부(本彼部) 정씨(鄭氏)로,
가리부(加利部)를 한기부(漢祇部) 배씨(裵氏)로,
명활부(明活部)를 습비부(習比部) 설씨(薛氏)로 고쳤다.

​또, 관등을 만들어 17등급으로 하였다.
이벌찬(伊伐飡), 이척찬(伊尺飡), 잡찬(迊飡), 파진찬(波珍飡), 대아찬(大阿飡), 아찬(阿飡), 일길찬(一吉飡), 사찬(沙飡), 급벌찬(級伐飡), 대나마(大奈麻), 나마(奈麻), 대사(大舍), 소사(小舍), 길사(吉士), 대오(大烏), 소오(小烏), 조위(造位)

34년(재위 11년), 도읍에 땅이 갈라지고 샘이 솟아났고, 6월에는 홍수가 났다.
36년 8월, 낙랑이 북쪽 국경을 침범해 타산성을 공격해 함락했다.
37년, 고구려 대무신왕이 낙랑을 습격하여 그들을 멸망시키자, 낙랑인 5천명이 투항하니 6부에 나누어 살도록 했다.
40년 9월, 화려와 불내 두 현이 연합하여 기병을 거느리고 북쪽을 침범했다.
맥국의 우두머리가 병사를 거느리고 곡하 서쪽에서 그들을 물리치니 왕이 기뻐하며 맥국과 우호를 맺었다.
42년 8월, 맥국의 우두머리가 사냥해서 잡은 새와 짐승을 왕에게 바쳤다.

56년(재위 33년) 4월, 금성 우물에서 용이 나타났고, 폭우가 서북에서 몰려왔으며, 5월에는 태풍이 불어 나무가 뽑혔다.
57년 9월, 왕이 병이 들어 신하에게 "탈해는 왕실과 혼인한 신분으로 대보의 지위에서 여러차례 공을 세워 이름을 떨쳤다.
나의 두 아들은 그 재주가 탈해에 못미치니, 내가 죽은 후에 탈해로 하여금 즉위하게 해라."하였다.
​그리고 10월, 유리 이사금은 생을 마감하고, 사릉원에서 장사를 지냈다.

삼국사기 유리 이사금 기록

 

주요사건
· 도솔가(兜率歌)
28년 11월, 유리 이사금이 나라를 순행하다 어려운 사람들을 도와주었는데, 이 소식을 듣고 이웃나라 사람들이 모여 들었다.
당시에 편안함을 즐거워하며 민간의 풍속에 도솔가(兜率歌)라는 노래를 최초로 지었는데 가악의 시초이다.
왕의 어진 정치를 찬송한 것이나 민속환강을 노래한 것으로 보기도 하고 국태민안(國泰民安)을 송축한 것, 부족연맹국가의 건설에 따른 국가이념과 연맹국간의 자율적 조화 및 연맹국의 무한한 발전을 염원하는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 추석(한가위)의 기원
32년(재위 9년) 봄, 왕이 6부를 정하고, 둘로 나누어 왕녀 2명으로 하여금 각 6부안에 여자를 거느리고 무리를 조직하게 했다.
이들은 7월 16일부터 매일 아침 뜰에 모여 길쌈을 하고 을야(밤 9시~11시)에 끝마쳤다.
8월 15일에 이르러 많고 적음을 업적으로 헤아려 진 사람들이 술과 음식을 차려놓고, 이긴 사람들에게 사례했다.
또한, 노래와 춤을 추며 온갖 놀이를 즐겼는데 이것을 가배[(嘉俳)-한가위의 기원]라고 하였다.
이때, 진편의 여자가 일어서 춤을 추고 탄식하며 말하길 "회소(會蘇) 회소(會蘇)"라고 했다. 
그 소리가 슬프고도 단아하여 후대 사람들이 그 소리를 따라 가사(歌詞)를 지어 이름을 회소곡(會蘇曲)이라 했다.

가족관계(유리 이사금 가계도)

· 왕후 박씨
일지(日知) 갈문왕(葛文王)의 딸. 삼국사기에 후비가 있었다는 기록은 없다.

· 일성
신라 7대왕. 일성 이사금편 참고.

· 파사
신라 5대왕. 파사 이사금편 참고.

유리 이사금 재위당시 삼국시대 연표

유리 이사금은 4대 탈해 이사금보다 치아 갯수가 많아 왕이 되었고, 다음 왕위도 아들이 아닌 탈해에게 넘겨주었다.
또한 관등을 정비하고, 어려운 백성들을 돌보았다.
동시대에 고구려는 대무신왕, 민중왕, 모본왕, 태조왕이 재위하였고, 백제는 온조왕, 다루왕이 재위하였다.

신라 왕 계보
혁거세 거서간-남해 차차웅-유리 이사금-탈해 이사금-파사 이사금-지마 이사금-일성 이사금-아달라 이사금-벌휴 이사금-내해 이사금-조분 이사금-첨해 이사금-미추 이사금-유례 이사금-기림 이사금-흘해 이사금-내물 마립간-실성 마립간-눌지 마립간-자비 마립간-소지 마립간-지증왕-법흥왕-진흥왕-진지왕-진평왕-선덕여왕-진덕여왕-태종 무열왕-문무왕-신문왕-효소왕-성덕왕-효성왕-경덕왕-혜공왕-선덕왕-원성왕-소성왕-애장왕-헌덕왕-흥덕왕-희강왕-민애왕-신무왕-문성왕-헌안왕-경문왕-헌강왕-정강왕-진성여왕-효공왕-신덕왕-경명왕-경애왕-경순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