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백제] 17대 아신왕(阿莘王)

by [悠悠自適] 2025. 1. 3.
반응형

 

백제 17대 아신왕(阿莘王)
출생 ? ~ 405년 9월
재위 392년 11월 ~ 405년 9월(12년 10개월)
가족 부인 2명, 자녀 2남 1녀

생애
아신왕은 15대 침류왕의 아들이며, 진사왕의 조카이다.
침류왕이 사망하고 나이가 어려서 숙부인 진사왕이 대신 즉위했고, 405년 9월 진사왕이 사망하자 백제 17대 왕에 올랐다.
한성 별궁에서 태어났고, 의지와 기백이 호걸스럽고 뛰어났으며 사냥과 말타기를 좋아했다.

393년(재위 2년) 정월, 진무를 좌장에 임명했다.
진무는 아신왕의 외삼촌으로 침착하고 굳세었으며, 원대한 지략이 있어 사람들이 많이 따랐다.
8월, 아신왕은 고구려에 뺏긴 백제의 요충지인 관미성을 탈환하기 위해 1만의 군사로 공격하였다.
좌장인 진무는 전투에서 진두지휘하며 관미성을 포위했으나, 고구려의 저항과 보급로가 끊어지자 퇴각하였다.

394년(재위 3년) 2월, 장남 전지를 태자로 삼고, 이복동생 홍을 내신좌평에 임명했다.
7월, 수곡성 아래서 고구려와 전투를 했지만 백제군이 패했다.
395년 2월, 아신왕은 진무에게 다시 고구려를 정벌하라고 명했다.
하지만 고구려 광개토대왕이 7천의 군사를 이끌고 패수 강가에서 전투가 벌어졌지만, 백제군은 대패하고 8천의 병사가 사망하였다.

같은해 11월, 아신왕은 보복전을 하기 위해 직접 7천의 병사를 이끌고 청목령 지역에 도착했다.
하지만, 폭설과 추위로 병사들이 동사하자 한산성으로 회군해서 병사들을 위로했다.
397년 5월, 아신왕은 고구려에 복수를 하기 위해 왜국과 우호를 맺고 태자 전지를 볼모로 보냈다.

398년(재위 7년) 2월, 진무를 병관좌평, 사두를 좌장으로 임명했고, 3월에는 쌍현성을 축조, 8월에는 고구려 공격을 위해 아신왕이 직접 출병했다.
하지만 한산 북쪽 목책에 이르렀는데, 밤에 큰 별이 군영안에 떨어지는 소리가 나자 불길하다고 여겨서 출정을 중지했다.
399년 8월, 다시 고구려 공격을 위해 군마를 징발했는데, 많은 백성들이 병역의 고통으로 인해 신라로 도망쳤다.
403년 7월, 아신왕은 병사를 보내 신경 국경을 공격하였다.
405년(재위 14년) 3월, 왕궁 서쪽에서 흰 기운이 솟아났고 9월에 아신왕은 생을 마감하였다.

삼국사기 아신왕 기록

 

주요사건
· 관미성 전투 패배와 아신왕의 항복
관미성은 백제의 요충지이다.
387년 9월, 진사왕때 고구려 광개토대왕에게 빼앗겼다.
393년 정월, 아신왕은 빼앗긴 관미성을 회복하기 위해 공격했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퇴각하였다.
이후 백제는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이렇다할 성과는 없었다.

삼국사기가 아닌 광개토대왕릉비의 기록을 보면,
396년에 광개토대왕은 수만의 수군을 배에 싣고 서해를 따라 백제로 이동하여 백제의 심장인 한성으로 향했다.
광개토대왕은 한강 이북의 58개의 성과 700개 촌을 장악하고, 한성을 공격하자 아신왕은 성문을 열고 나가서 무릎을 꿇고 항복하였다.
그리고 왕족과 중신 열명을 고구려에 볼모로 보내야 했다.

이 내용은 삼국사기 광개토대왕과 아신왕의 기록에는 나오지 않고, 광개토대왕릉비에만 기록되어 있다.

가족관계(아신왕 가계도)

· 왕후
왕후에 대한 기록은 없다.

· 전지왕
18대 전지왕. 전지왕편 참고.

· 공주 신제도원
삼국사기에는 기록이 없고, 일본서기에 전지왕이 누이동생으로 기록되어 있다.

· 후비
소후에 대한 기록은 없다.

· 여신
전지왕의 이복동생. 407년 내신좌평으로 임명하고 다음해 상좌평에 임명되었다.

아신왕 재위당시 삼국시대 연표

아신왕은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매번 패배하였고, 결국 광개토대왕에게 항복하는 수모를 겪기도 하였다.

동시대에 신라는 내물왕, 실성왕이 재위하였고, 고구려는 광개토대왕이 재위하였다.

백제 왕 계보
온조왕-다루왕-기루왕-개루왕-초고왕-구수왕-사반왕-고이왕-책계왕-분서왕-비류왕-계왕-근초고왕-근구수왕-침류왕-진사왕-아신왕-전지왕-구이신왕-비유왕-개로왕-문주왕-삼근왕-동성왕-무령왕-성왕-위덕왕-혜왕-법왕-무왕-의자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