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신라] 6대 지마 이사금(祗摩 尼師今)

by [悠悠自適] 2025. 2. 13.
반응형

 

신라 6대 지마 이사금(祗摩 尼師今)
출생 ? ~ 134년 8월
재위 112년 10월 ~ 134년 8월(21년 10개월)
가족 부인 1명, 자녀 1녀

생애
지마(지미) 이사금은 파사 이사금의 적자이고, 모친은 사성부인이다.
112년 10월, 파사 이사금이 사망하자 신라 6대 왕에 올랐다.

113년(재위 2년) 2월, 시조 사당에 제사를 지냈고, 창영을 이찬(2관등)으로 제수하고 정사에 참여토록 했다.
옥권을 파진찬(4관등)으로, 신권을 일길찬(7관등), 순선을 급찬(9관등)으로 삼았다.
3월, 백제 사신이 와서 빙례(물건을 선사하는 예의)를 행했다.

114년(재위 3년) 3월, 우박이 내려 보리 모종을 해쳤고, 4월에는 홍수가 나서 죄수를 헤아려 사형죄를 제외하고 모두 풀어주었다.
115년 2월, 가야가 남쪽 변경을 약탈했고, 7월에 왕이 직접 가야를 정벌했다.
보병과 기병을 거느리고 황산하를 건널때, 가야 군사가 숲속에 매복을 하고 있었다. 
왕이 미처 파악하지 못하고 나아가자 복병이 여러겹으로 포위했다.
그러나 왕이 군을 지휘하며 분전하니 포위를 무너트리고 가야군이 퇴각했다.

116년(재위 5년) 8월, 장수들을 보내 가야를 침공하고, 왕은 정예병 1만을 거느리고 뒤따랐다.
가야 군영은 성을 굳게 지켰고, 오랫동안 비가 내려 귀환했다.
120년 2월, 큰 별이 떨어져 소리가 우레와 같았고, 3월에는 도읍에 전염병이 크게 돌았다.
121년 1월, 익종을 이찬으로, 흔연을 파진찬으로, 임권을 아찬으로 임명했다.
2월, 대중산성을 축조하고, 4월에는 왜놈들이 동쪽 변경을 침략했다.

122년(재위 11년) 4월, 태풍이 동쪽에서 불어와 나무가 꺾이고, 기와가 날아갔으며 저녁에 되어서야 멈췄다.
도읍의 백성들이 왜병들이 대규모로 쳐들어온다는 거짓 소문을 듣고 산골짜기로 숨어들었다.
왕이 이찬 익종등에게 명령해 백성들을 타일러 숨지 못하게 했다.
7월, 황충이 날아들어 곡식을 해쳐 흉년으로 도적이 많아졌다.

123년(재위 12년) 3월, 왜국과 강화를 맺었고, 4월에 서리가 내렸다.
5월에는 금성 동쪽 민가가 무너져 연못이 되었고, 그곳에서 연꽃이 돋아났다.
125년 정월, 말갈의 대규모 군대가 북쪽 변경을 침입하여 관리와 백성을 죽이고 노략질했다.
7월, 또다시 말갈이 대령의 목책을 공격하고 니하를 지났다.
왕이 국서를 보내 백제에 구원을 요청하니 백제에서 5명의 장군을 보내와 신라를 도와주었고, 적군이 이를 듣고 퇴각했다.

128년(재위 17년) 8월, 혜성이 하늘에 나타났고, 10월에는 동쪽에 지진이 발생, 11월에는 천둥이 쳤다.
129년, 이찬 창영이 죽자 옥권을 이찬으로 삼았다.
131년 5월, 많은 비로 민가의 집들이 떠내려가고 물에 잠겼다.
132년 2월, 왕궁 남문에서 화재가 났다.
134년 봄, 여름에 가뭄이 들고, 8월에 왕(지마 이사금)이 아들없이 생을 마감했다.

삼국사기 지마 이사금 기록

 

주요사건
· 말갈의 공격과 백제의 구원
125년 1월, 말갈이 신라를 공격했는데, 신라는 말갈에 대해 정보도 없는 상태라 속수무책으로 당했다.
7월에 다시 말갈이 공격해오니, 말갈에 대해 잘 알고있는 백제에 구원을 요청한다.
백제는 말갈과 건국 초기부터 전쟁을 하여 많은 정보가 있었고, 백제 장수중에는 말갈군 공략에 뛰어난 장수가 많았다.
이에 말갈은 백제 장수가 왔다는 소식을 듣고 퇴각했다.

가족관계(지마 이사금 가계도)

· 왕후 애례부인 김씨
왕비는 애례부인(愛禮夫人) 김씨로 갈문왕 마제(摩帝)의 딸이다.
예전 파사왕이 유찬의 연못에 사냥을 갔을때, 태자 지마가 따라갔다.
사냥이 끝나고 한기부 지역을 지날때, 이찬 허루가 향연을 베풀었는데, 허루의 아내가 어린 딸을 데리고 춤을 추었다.
그런데, 이찬 마제의 아내 역시 딸을 데리고 나오자 태자 지마가 그것을 보고 기뻐했다.
그러자 허루의 기분이 좋지 않았는데, 왕이 허루를 달래며 직위를 주다(각간:1관등, 이벌찬의 별칭)로 삼고, 마제의 딸은 태자의 베필로 삼았다.

· 내례부인
신라 8대 아달라 이사금의 왕비. 

아달라 이사금은 내례부인과 5촌지간이다. 아달라 이사금편 참고.

지마 이사금 재위당시 삼국시대 연표

지마 이사금은 왜, 가야, 말갈과의 전쟁을 비교적 잘 대처하였다.
그렇지만 자연재해를 피해갈 수 없었으며, 아들없이 생을 마감하였다.
동시대에 고구려는 태조왕, 백제는 기루왕, 개루왕이 재위하였다.

신라 왕 계보
혁거세 거서간-남해 차차웅-유리 이사금-탈해 이사금-파사 이사금-지마 이사금-일성 이사금-아달라 이사금-벌휴 이사금-내해 이사금-조분 이사금-첨해 이사금-미추 이사금-유례 이사금-기림 이사금-흘해 이사금-내물 마립간-실성 마립간-눌지 마립간-자비 마립간-소지 마립간-지증왕-법흥왕-진흥왕-진지왕-진평왕-선덕여왕-진덕여왕-태종 무열왕-문무왕-신문왕-효소왕-성덕왕-효성왕-경덕왕-혜공왕-선덕왕-원성왕-소성왕-애장왕-헌덕왕-흥덕왕-희강왕-민애왕-신무왕-문성왕-헌안왕-경문왕-헌강왕-정강왕-진성여왕-효공왕-신덕왕-경명왕-경애왕-경순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