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고구려] 1대 동명성왕(東明聖王)

by [悠悠自適] 2024. 10. 8.
반응형

 

고구려 1대 동명성왕(東明聖王-고주몽)

출생 B,C 58년 ~ B,C 19년(향년 39세)

재위 B,C 37년 ~ B,C 19년(18년)

가족 부인 2명, 자녀 3남

 

생애

고구려 시조인 주몽은 아버지 해모수와 어머니 유화부인사이에서 태어났다.
동부여 금와왕의 왕자들의 핍박을 피해 졸본으로 가서 도읍을 정하고 고구려를 세웠다. 
어릴때부터 활쏘기에 능했고, 주몽이란 이름도 부여말로 '활을 잘쏘는 사람'을 뜻한다.
졸본에는 이미 구려국이 있었는데 이를 복속하여 더 높은 구려국이라는 뜻으로 고구려를 세웠고, 이로 인하여 고(高)를 성씨로 삼았다.

 

B,C 36년(재위 2년), 송양이 나라를 바치고 항복해 와서 그 땅을 다물도(多勿都)로 삼고 송양을 군주로 봉했다.
옛 땅을 수복하는것을 다물(多勿)이라 해서 그렇게 이름을 지었다.
B,C 32년 10월, 동명성왕은 오이와 부분노에게 명하여 태백산 동남쪽 행인국을 정벌하게 했고, 그 영토를 빼앗아 성읍으로 삼았다.
B,C 28년 11월, 부위염에게 명하여 북옥저를 정벌하고 그 영토를 성읍으로 삼았다.

광진구 아차산의 고구려정


B,C 24년(재위 14년) 왕의 모친 유화부인이 동부여에서 돌아가시자 금와왕이 태후의 예로 장례를 지냈는데, 부여에 사신과 토산물을 보내 은덕에 보답했다.
B,C 19년 4월, 부여에 있던 예씨 부인과 아들 유리가 고구려로 오자 기뻐하며 그를 태자로 삼았다.
그리고 그해 9월 40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하였고, 용산에서 장례를 치르고 시호는 동명성왕이라 했다.

이듬해 비류국 송양왕의 항복을 받았고 행인국·북옥저를 정복하여 나라의 기틀을 다졌다. 
기원전 19년 동부여에서 첫 부인 예씨와 왕자 유리가 도망해오자 태자로 삼았다. 
그 해 9월에 서거하여 용산에 장사 지내고 시호를 동명성왕이라 했다.

《삼국사기》에는 기원전 19년 9월, 40세 때 승하하여 용산(龍山)에 임금의 무덤을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동국이상국집》에 실린 《구삼국사》의 〈동명왕〉 편과 『광개토대왕릉비』에선 왕은 홀본 동쪽에서 황룡을 타고 승천했다고 한다.
《삼국사기》 기록엔 아들 온조왕이 기원전 19년에, 손자 대무신왕이 서기 20년에 각자 동명왕을 기리는 사당을 세운다.

 

가족관계(동명성왕 가계도)

· 왕후 예씨 부여출신으로 부여를 떠나기전에 결혼하고, 이후 아들 유리를 낳아 유리를 고구려로 보내지만, 본인은 부여에 남았다.

 

· 유리 왕후 예씨의 아들로 2대 유리명왕.

 

· 왕후 연씨 연타취발의 딸로 이름은 소서노.

주몽과의 결혼전에 이미 비류와 온조 두아들이 있었지만, 주몽과는 정략적으로 결혼했다.

이후 주몽의 후계자 다툼에서 유리에게 밀리자, 두아들을 데리고 남쪽으로 남하하여 백제를 건국하게 된다.

 

· 비류 왕후 연씨의 큰아들.

 

· 온조 왕후 연씨의 둘째아들로 백제 1대왕.

 

동명성왕 재위당시 삼국시대 연표

고구려 건국 20년전에 이미 신라가 건국되었고, 고구려 건국 19년후에 백제가 건국되었다.

그러나 당시 삼국의 국가 규모를 보면, 백제와 신라는 고구려에 비해 미미했기에 큰 의미는 없다.

동시대에 신라는 박혁거세왕이 재위하였고, 백제는 건국전이었다.

 

고구려 왕 계보

동명성왕-유리명왕-대무신왕-민중왕-모본왕-태조왕-차대왕-신대왕-고국천왕-산상왕-동천왕-중천왕-서천왕-봉상왕-미천왕-고국원왕-소수림왕-고국양왕-광개토대왕-장수왕-문자명왕-안장왕-안원왕-양원왕-평원왕-영양왕-영류왕-보장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