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백제] 21대 개로왕(蓋鹵王)

by [悠悠自適] 2025. 1. 10.
반응형

 

백제 21대 개로왕(蓋鹵王)
출생 ? ~ 475년 9월
재위 455년 9월 ~ 475년 9월(20년)
가족 부인 1명, 자녀 1남

생애
개로왕은 비유왕의 장남이고, 이름은 경사(慶司)이다.
455년 9월 비유왕이 사망하자, 백제 21대 왕에 올랐다.

468년(재위 14년) 2월, 고구려가 신라를 공격하여 실직성을 빼앗는 일이 일어나자 개로왕은 대비책을 마련한다.
469년 8월, 개로왕은 장수를 보내 고구려 남쪽을 공격했고, 10월에는 쌍현성을 수리하고 청목령에 목책을 설치, 북한산성을 방어하였다.
472년 위나라에 조공을 하면서, 승냥이와 이리(고구려와 말갈을 지칭)가 길을 막고 있으니 같이 고구려를 공격하자고 제의했지만 위나라는 응하지 않았다.
그러자 개로왕은 위나라를 원망하며 조공을 끊었다.
당시 위나라는 고구려와 결혼동맹으로 관계를 유지하려고 했었다. 하지만 결과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475년(재위 20년) 9월, 고구려 장수왕이 3만의 군사로 백제 한성을 포위했다.
그러자 개로왕은 성문을 닫고 방어했는데, 고구려가 4군데로 나누어서 협공하고 성문을 불태웠다.
백성들이 두려워서 성을 나가 항복하는 사람도 있고, 7일만에 북쪽의 성이 무너졌다.
위기를 느낀 개로왕이 서쪽으로 도주하다 고구려군에 붙잡혀 살해당했다.

삼국사기 개로왕 기록

 

주요사건
· 첩자 도림과 개로왕의 최후
개로왕의 몰락은 고구려 장수왕의 계획이었다.
장수왕은 은밀히 백제 내부를 살피려는 간첩을 구했는데, 승려 도림이 선뜻 나섰다.
개로왕은 장기와 바둑을 즐겼는데, 도림의 바둑 실력은 수준급이었다.
도림은 백제로 넘어가서 바둑으로 개로왕에게 접근하였다.

그러면서 도림은 개로왕에게 선왕(비유왕)의 유골이 임시로 노지에 있으니 능을 조성하고, 궁궐등 대공사를 해야 한다고 부추겼다.
이에 개로왕은 백성들을 부역에 동원하고, 군사들마저 공사에 투입시켰다.
그러자, 국고는 비어갔고, 백성들은 굶주렸으며 군사들은 지쳐갔다.
그리고 도림은 이런 사실을 장수왕에게 알렸고, 475년에 고구려는 백제를 공격하였다.

7일만에 백제 한성이 함락되자, 개로왕은 서쪽으로 달아났지만 붙잡혔다.
개로왕을 잡은 장수는 백제에서 달아난 재증걸루였다.
아차산으로 압송된 개로왕은 그곳에서 최후를 맞이했고, 시신도 백제로 돌아가지 못했다.

가족관계(개로왕 가계도)

· 왕후
왕후에 대한 기록은 없다.

· 무령왕
삼국사기에는 무령왕이 동성왕의 차남으로 기록되어 있고, 일본서기에는 개로왕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또, 일본서기에는 개로왕에게 여러아들이 있었고, 한성이 함락되었을때 사망했다고 되어있다.

자세한것은 25대 무령왕편 참고.

개로왕 재위당시 삼국시대 연표

개로왕은 즉위때부터 조정이 안정된 상태는 아니었다. 
그런데도 개로왕은 도림과 바둑에 빠져 그의 계략에 속아 대공사로 국고를 탕진하고, 백성들과 군사들의 삶을 어렵게 하였으며,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동시대에 신라는 눌지왕, 자비왕이 재위하였고, 고구려는 장수왕이 재위하였다.

백제 왕 계보
온조왕-다루왕-기루왕-개루왕-초고왕-구수왕-사반왕-고이왕-책계왕-분서왕-비류왕-계왕-근초고왕-근구수왕-침류왕-진사왕-아신왕-전지왕-구이신왕-비유왕-개로왕-문주왕-삼근왕-동성왕-무령왕-성왕-위덕왕-혜왕-법왕-무왕-의자왕

반응형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제] 23대 삼근왕(三斤王)  (0) 2025.01.15
[백제] 22대 문주왕(文周王)  (0) 2025.01.14
[백제] 20대 비유왕(毗有王)  (0) 2025.01.09
[백제] 19대 구이신왕(久爾辛王)  (0) 2025.01.08
[백제] 18대 전지왕(腆支王)  (0) 202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