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신라] 7대 일성 이사금(逸聖 尼師今)

by [悠悠自適] 2025. 2. 14.
반응형

 

신라 7대 일성 이사금(逸聖 尼師今)
출생 ? ~ 154년 2월
재위 134년 8월 ~ 154년 2월(19년 6개월)
가족 부인 1명, 자녀 1남

생애
일성 이사금은 3대 유리 이사금의 장남이고(혹은 일지 갈문왕의 아들)이다.
134년 8월, 지마 이사금이 사망하고 신라 7대 왕에 올랐다.

135년(재위 2년) 1월, 시조 사당에 제사를 지냈다.
136년 1월, 웅선을 이찬으로 임명하고, 중앙과 지방 군사제반의 일을 겸직하도록 했으며, 근종을 일길찬으로 삼았다.
137년 2월, 말갈이 변방을 침입해 장령 5곳의 목책을 불사질렀다.
138년 2월, 금성에 정사당을 설치했고, 7월에는 알천 서쪽에서 대규모 군대를 사열했다.
10월, 북쪽으로 순행을 나가 태백산에서 몸소 제사를 지냈다.

139년(재위 6년) 7월, 서리가 내려 콩이 죽었고, 8월에 말갈이 장령을 습격하여 백성들을 사로잡고 노략질했다.
10월, 말갈이 또 쳐들어왔으나 눈이 심하게 내려 곧 퇴각했다.
140년 2월, 장령에 목책을 세워 말갈의 침략에 대비했다.
142년 7월, 신하들과 함께 말갈을 정벌할 것을 논의했는데, 이찬 웅선이 불가능하다고 하자 중지했다.
143년 2월, 궁실을 보수했다.

144년(재위 11년) 2월, 왕이 "농사는 정치의 근본이다. 백성들은 먹는것을 하늘처럼 생각한다. 
여러 주군의 제방을 수리하여 온전하게 하고 들판을 농경지로 넓히고 개간하라. 또한 백성들은 금, 은, 구슬, 옥의 사용을 금한다."고 하명했다.
145년 봄, 여름에 가뭄으로 남쪽 지역이 피해가 컸고, 백성들이 굶주려 식량을 나누어주며 진휼했다.
146년 10월, 압독(경북 경산)에서 모반이 일어나 병력을 징발하여 그들을 평정했고, 남은 무리들을 남쪽지방으로 이주시켰다.

147년(재위 14년) 7월, 신하들에게 "각각 지혜롭고 용맹하여 장수가 되어 군대를 맡길만한 자를 천거하라."고 명하였다.
148년 박아도를 갈문왕(죽은 뒤에 봉하는 왕)에 봉했다.
149년 1월, 득훈을 사찬(8관등)으로, 선충을 내마(11관등)으로 임명했고, 11월에는 천둥이 치고 도읍에 전염병이 크게 돌았다.
150년 4월부터 비가 오지 않았다가 7월에 비가 왔다.

151년(재위 18년) 2월, 이찬 웅선이 죽어 대선을 이찬으로 삼고, 중앙과 지방 군사의 일을 맡겼다.
153년 10월, 궁궐의 문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혜성이 동방의 자리와 동북방의 자리에서 나타났다.
154년 2월, 일성 이사금이 생을 마감했다.

 

주요사건
· 일성 이사금의 신분
삼국사기에는 일성 이사금은 3대 유리 이사금의 장남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일성왕이 즉위하던 시기는 유리왕이 사망한지 77년이나 지난후여서 시기적으로 맞지 않다.
따라서 일성왕은 유리왕의 아들보다 손자이거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일성왕은 동생인 5대 파사왕보다도 54년이나 늦게 왕위에 올랐다.

그러다 6대 지마왕이 아들없이 사망하자 7대 왕에 오른것이다.
일본서기의 기록에는 일성왕은 왜나라에 망명한 기록이 있다.
3대 유리왕이 사망하고 탈해왕과의 왕위 다툼, 또한 동생인 파사왕과의 왕위 다툼에서 밀려 왜나라로 망명했을 가능성은 있다.

가족관계(일성 이사금 가계도)

· 왕비 박씨
지소례왕(支所禮王)의 딸.

· 아달라 이사금
신라 8대 아달라 이사금편 참고.

· 마다오
일성왕이 왜나라에 있을때, 단마국의 태이의 딸. 아들 제조가 있었지만, 왜나라에 남았다고 일본서기에 기록되어 있다.

일성 이사금 재위당시 삼국시대 연표

일성 이사금도 말갈의 침략과 자연재해를 피할수는 없었다. 또, 모반까지 일어나 재위기간이 순탄하지는 않았다.
동시대에 고구려는 태조왕, 차대왕이 재위하였고, 백제는 개루왕이 재위하였다.

신라 왕 계보
혁거세 거서간-남해 차차웅-유리 이사금-탈해 이사금-파사 이사금-지마 이사금-일성 이사금-아달라 이사금-벌휴 이사금-내해 이사금-조분 이사금-첨해 이사금-미추 이사금-유례 이사금-기림 이사금-흘해 이사금-내물 마립간-실성 마립간-눌지 마립간-자비 마립간-소지 마립간-지증왕-법흥왕-진흥왕-진지왕-진평왕-선덕여왕-진덕여왕-태종 무열왕-문무왕-신문왕-효소왕-성덕왕-효성왕-경덕왕-혜공왕-선덕왕-원성왕-소성왕-애장왕-헌덕왕-흥덕왕-희강왕-민애왕-신무왕-문성왕-헌안왕-경문왕-헌강왕-정강왕-진성여왕-효공왕-신덕왕-경명왕-경애왕-경순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