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97 [신라] 24대 진흥왕(眞興王) 신라 24대 진흥왕(眞興王) 출생 534년 ~576년 8월 재위 540년 7월 ~ 576년 8월(36년 1개월) 가족 부인 2명, 자녀 2남생애 진흥왕의 이름은 삼맥종이고, 법흥왕의 동생 입종 갈문왕의 아들이며, 모친은 법흥왕의 딸인 지소태후 김씨이다. 540년 7월, 법흥왕이 사망하자 7세의 나이로 신라 24대 왕에 올랐다. 왕의 나이가 어려 왕태후가 섭정했다. 540년(재위 원년) 8월, 대사면령을 내리고, 문무백관들의 관직을 한 직급씩 올려주었다. 10월에는 지진과 복숭아와 오얏꽃이 피었다. 541년 3월, 1척의 눈이 내렸고, 이사부를 병부령으로 제수하고 군사 제반의 일을 맡겼다. 백제가 사신을 보내와 화친을 청하자 이를 허락했다. 544년(재위 5년) 2월, 흥륜사가 완공되었고, 백성들이 출가하.. 2025. 3. 20. [신라] 23대 법흥왕(法興王) 신라 23대 법흥왕(法興王) 출생 ? ~540년 7월 재위 514년 7월 ~ 540년 7월(26년) 가족 부인 1명, 자녀 1녀 생애 법흥왕은 이름은 원종이고, 지증 마립간의 장남이며, 모친은 연제부인이다. 신장은 7척으로 관대하고 후하며, 백성들을 사랑했다. 514년 7월, 지증 마립간이 사망하자 신라 23대 왕에 올랐다. 삼국사기에는 법흥왕부터 왕의 호칭을 사용했다.(거서간 1명, 차차웅 1명, 이사금 16명, 마립간 4명) 516년(재위 3년) 정월, 신궁에서 제사를 지냈고, 양산 우물에서 용이 나타났다. 517년 4월, 처음으로 병부를 설치했다. 518년 2월, 주산성을 축조했다. 520년(재위 7년) 정월, 율령을 반포하고, 처음으로 백관들의 공복을 제정해 관직에 따라 붉은색과 자주색으로 나누었.. 2025. 3. 19. [신라] 22대 지증 마립간(智證 麻立干) 신라 22대 지증 마립간(智證 麻立干) 출생 437년 ~ 514년 7월 재위 500년 11월 ~ 514년 7월(13년 8개월) 가족 부인 1명, 자녀 2남 생애 지증 마립간은 성은 김씨로 이름은 지대로(智大路)이다. 17대 내물 마립간의 증손자로 습보 갈문왕의 아들이고, 소지왕의 재종(육촌)동생이며, 모친은 조생부인 김씨(19대 눌지왕의 딸)이다. 왕의 체구가 컸으며, 담력이 보통 사람보다 뛰어났다. 소지 마립간이 아들이 없이 사망하자, 500년 11월, 64세의 나이로 신라 22대 왕에 올랐다. 502년(재위 3년) 3월, 왕이 순장(왕이나 귀족이 죽었을 때 그의 아내나 신하 또는 종들을 함께 매장하던 고대 장례 풍속)을 금지했다. 이전에는 왕이 사망하면 남녀 각각 5명씩 순장을 했는데, 이때에 이르러.. 2025. 3. 18. [신라] 21대 소지 마립간(炤知 麻立干) 신라 21대 소지 마립간(炤知 麻立干) 출생 ? ~ 500년 11월 재위 479년 2월 ~ 500년 11월(21년 9개월) 가족 부인 2명, 자녀 1남1녀 생애 소지 마립간은 자비왕의 장남이고, 모친은 서불한 미사흔의 딸이다. 소지는 어려서 효행이 뛰어났고, 남을 높이고 스스로를 낮추었으며 스스로를 지켰으니, 사람들이 모두 그를 따랐다. 479년 2월, 자비왕이 사망하자 신라 21대 왕에 올랐다. 479년(재위 원년), 대사면령을 내리고 백관들의 작위를 한 자급을 하사했다. 480년 2월, 시조 사당에 제사를 지내고, 5월에는 도읍에 가뭄이 들었다. 10월에는 백성들이 기근에 시달려 창고를 열어 곡식을 나누며 진휼했고, 11월에는 말갈이 북쪽 변경을 침공했다. 481년(재위 3년) 2월, 비열성에 행차해.. 2025. 3. 13. [신라] 20대 자비 마립간(慈悲 麻立干) 신라 20대 자비 마립간(慈悲 麻立干) 출생 ? ~ 479년 2월 재위 458년 8월 ~ 479년 2월(20년 6개월) 가족 부인 1명(?), 자녀 1남 생애 자비 마립간은 눌지왕의 장남으로 모친은 아로부인 김씨로 18대 실성왕의 딸이다. 459년(재위 2년) 2월, 시조 사당에 배알했고, 4월에 왜놈들이 백여척의 배로 동쪽 변경을 습격하고 진군하여 월성을 포위했다. 사방에서 화살과 돌이 쏟아졌고, 왕이 성을 지켜내며 적이 퇴각하려할때, 출병하여 왜놈들을 습격해 패배시켰다. 또, 북쪽으로 추격하여 바닷가 어귀에 이르러 적의 과반수가 익사했다. 461년(재위 4년) 2월, 서불한 미사흔의 딸을 왕비로 맞이하여 왕비로 삼았다. 4월에는 금성의 우물에서 용이 나타났다. 46년 5월, 왜놈들이 활개성을 습격해 .. 2025. 3. 12. [신라] 19대 눌지 마립간(訥祗 麻立干) 신라 19대 눌지 마립간(訥祗 麻立干) 출생 ? ~ 458년 8월 재위 417년 5월 ~ 458년 8월(41년 3개월) 가족 부인 1명, 자녀 1남1녀 생애 눌지 마립간은 17대 내물왕의 장남이고, 모친은 보반부인으로 미추왕의 딸이다.417년 5월, 눌지왕은 실성왕을 시해하고 스스로 신라 19대 왕에 올랐다.(18대 실성 이사금편 참고) 삼국사기에는 눌지왕때부터 마립간이란 호칭이 나오는데, 마립은 방언으로 말뚝을 일컫는다. 신라말로 함조(번성하다)를 뜻하며, 지위에 준하여 말뚝을 배치하는데, 왕의 말뚝이 주인이 되고, 신하의 말뚝은 아래에 두었다.마립간이란 신라 고유의 군주의 칭호이고, 간(왕)중의 으뜸, 즉 왕중왕과 비슷한 의미로 보이며, 이전에 쓰이던 이사금이 연장자, 현자라는 정도의 애매한 권위만 .. 2025. 3. 11. 이전 1 2 3 4 5 6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