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99 [신라] 14대 유례 이사금(儒禮 尼師今) 신라 14대 유례 이사금(儒禮 尼師今) 출생 ? ~ 298년 12월 재위 284년 10월 ~ 298년 12월(14년 2개월) 가족 기록없음 생애 유례 이사금은 11대 조분 이사금의 장남으로 모친은 박씨로 갈문왕 내음의 딸이다. 모진이 일찍이 밤에 길을 걷다 별빛이 입안으로 들어와 임신하게 되었고, 태어나는 날 저녁에 기이한 향기가 방안에 가득 찼다고 한다.298년 12월, 미추 이사금이 사망하자 신라 14대 왕에 올랐다.285년(재위 2년) 1월, 시조 사당에 배알했고, 2월에는 이찬 홍권을 서불한(1관등)으로 제수하고 나라의 중요한 업무를 맡게 했다. 286년 1월, 백제가 사신을 보내와 화친을 청했다. 287년 4월, 왜놈들이 일례부를 습격하여 불을 질러 그곳을 불태우고 천명을 사로잡아갔다. 289년.. 2025. 2. 27. [신라] 13대 미추 이사금(味鄒 尼師今) 신라 13대 미추 이사금(味鄒 尼師今) 출생 ? ~ 284년 10월 재위 261년 12월 ~ 284년 10월(22년 10개월) 가족 부인 1명 생애 미추 이사금의 부친은 구도(仇道)이고, 모친은 박씨로 갈문왕 이칠의 딸이다. 김알지의 6대손(알지-세한-아도-수류-욱보-구도-미추)이며, 첨해 이사금이 후사없이 사망하자, 261년 12월 신라 13대 왕에 올랐다. 신라 김씨 왕조의 시초이다. 262년(재위 원년) 3월, 궁 동쪽 연못에서 용이 나타났다. 7월, 금성 서문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민가로 불길이 번져 3백여 채가 불탔다. 263년 1월, 이찬 양부를 서불한으로 제수하고, 중앙과 지방 군사 제반의 일을 맡겼다. 2월, 시조 사당에 제사를 지내고 대사면령을 내렸으며, 아버지 구도를 갈문왕으로 봉했다. .. 2025. 2. 26. [신라] 12대 첨해 이사금(沾解 尼師今) 신라 12대 첨해 이사금(沾解 尼師今) 출생 ? ~ 261년 12월 재위 247년 5월 ~ 261년 12월(14년 7개월) 가족 기록없음 생애 첨해 이사금은 조분 이사금의 친동생이고, 247년 5월 조분 이사금이 사망하고 신라 12대 왕에 올랐다. 247년, 시조 사당을 배알하고 부친 골정을 세신 갈문왕으로 봉했다. 248년(재위 2년) 1월, 이찬 장원을 서불한으로 삼아 국정에 참여하게 했다. 2월에는 고구려에 사신을 파견해 화친을 맺었다. 249년 4월, 왜놈들이 서불한 우로를 죽였다. 7월에는 궁궐 남쪽에 남당 혹은 도당을 지었으며, 양부를 이찬으로 삼았다. 251년(재위 5년) 1월, 남당에서 처음으로 정부를 보았다. 한기부의 부도라는 사람이 가난했지만, 도리에 어긋나지 않았고, 글솜씨가 좋았으며.. 2025. 2. 25. [신라] 11대 조분 이사금(助賁 尼師今) 신라 11대 조분 이사금(助賁 尼師今) 출생 ? ~ 247년 5월 재위 230년 3월 ~ 247년 5월(17년 2개월) 가족 부인 2명, 자녀 2남 2녀 생애 조분 이사금은 벌휴 이사금의 장남 골정의 아들이다. 즉 벌휴 이사금의 손자이고, 모친은 구도 갈문왕의 딸인 옥모부인 김씨이다. 10대 내해 이사금과는 사촌관계이자, 사위이다. 내해 이사금이 죽기전 유언으로 사위 조분으로 왕위를 계승하게 하여 230년 3월, 신라 11대 왕에 올랐다. 현명하고 결단력이 있어 사람들이 그를 두려워하고 공경했다. 230년(재위 원년), 연충을 이찬으로 제수하고, 군사와 국정의 일을 맡겼고, 7월에는 시조 사당에 배알했다. 231년 7월, 이찬 우로를 대장군으로 삼아 감문국을 토벌하게 하고 그 지역을 군으로 삼았다. 2.. 2025. 2. 21. [신라] 10대 내해 이사금(奈解 尼師今) 신라 10대 내해 이사금(奈解 尼師今) 출생 ? ~ 230년 3월 재위 196년 4월 ~ 230년 3월(33년 11개월) 가족 부인 1명, 자녀 2남 1녀 생애 내해 이사금은 벌휴 이사금의 둘째 아들 이매의 아들이다. 즉 벌휴 이사금의 손자이고, 모친은 내례부인이다. 용모가 웅대하고 위용이 있었으며, 뛰어난 재능이 있었다. 벌휴 이사금의 태자 골정과 차남 이매가 먼저 죽고, 왕태손은 나이가 어려 이매의 아들인 내해를 옹립하였다. 196년 4월, 할아버지인 벌휴 이사금이 사망하자 신라 10대 왕에 올랐다. 그해 정월부터 4월까지 비가 오지 않다가 내해 이사금이 즉위하는날 많은 비가 오니 백성들이 경사스러워하며 기뻐했다. 197년(재위 2년) 1월, 시조 사당에 배알했다. 198년 4월, 시조 사당앞에서 .. 2025. 2. 20. [신라] 9대 벌휴 이사금(伐休 尼師今) 신라 9대 벌휴 이사금(伐休 尼師今) 출생 ? ~ 196년 4월 재위 184년 3월 ~ 196년 4월(12년 1개월) 가족 부인 1명, 자녀 2남 생애 벌휴 이사금은 4대 탈해 이사금의 아들인 각간 구추와 지진내례부인 김씨의 아들이다. 즉, 탈해 이사금의 손자이다. 184년 3월, 아달라 이사금이 후사없이 사망하자 신라 9대 왕에 올랐다. 벌휴왕은 바람과 구름으로 점을 쳐서 홍수와 가뭄, 풍년과 흉년을 미리 알 수 있었고, 사람의 그릇됨과 올바름을 알 수 있어 성인이라고 불렀다. 185년(재위 2년) 1월, 시조 사당에 제사를 지내고 대사면령을 내렸다. 2월에는 파진찬 구도와 일길찬 구수혜를 좌우 군주(軍主)로 임명하여 소문국을 정벌했다. 186년 1월, 주군을 순행하며 풍속을 살폈고, 7월에는 남신현에.. 2025. 2. 19. 이전 1 2 3 4 5 6 7 8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