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고구려] 17대 소수림왕(小獸林王)

by [悠悠自適] 2024. 11. 14.
반응형

 

고구려 17대 소수림왕(小獸林王)
출생 ? ~ 384년 11월
재위 371년 10월 ~ 384년 11월(13년 1개월)
가족 부인 1명

생애
소수림왕은 고국원왕의 장남이며, 이름은 구부(丘夫)이다.
고국원왕 25년인 355년에 태자로 책봉되고, 고국원왕이 평양성에서 전사하자 371년 10월 고구려 17대 왕에 올랐다.
소수림왕은 기골이 장대하고 지략이 뛰어났는데, 태자에 오르기 전부터 정사에 관여하기도 하였다.
고국원왕을 도와 국방과 행정에 경험을 하였고, 외교문제에도 적극 가담하였다.
이러한 경험으로 소수림왕은 문치주의를 표방하고, 백제에 대한 압박정책을 하였다.

소수림왕 시대에는 중원에는 큰 변화가 일어났고, 국제정세에 밝은 소수림왕은 전진, 동진과 화친을 맺어 백제를 고립시키는 정책을 하였다.
이렇게 외적으로는 고도의 외교전략을 취했고, 내적으로는 문치주의 표방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이를 위해 전진과 동진에서 부흥하던 불교를 적극 수용하여 종교적 일체감을 꾀하였고, 태학을 세워 교육제도를 체계화하였다.
또한 율령(형률과 법령)을 반포하여 관습법을 벗어나 법치국가로서의 변화를 추구하였다.
이에따라 고구려는 중앙집권화와 대내외적으로 안정되었다.

이러한 안정된 정책을 바탕으로 376년 11월, 선왕의 복수를 하고자 백제의 북쪽 국경을 공격하였다.
하지만, 미리 대비하고 있던 백제군에 의해 별다른 성과없이 퇴각하였다.
백제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이듬해 10월, 3만의 군사를 이끌고 오히려 평양성을 공격하였다.
백제의 기습을 받은 고구려는 고전했으나, 수성전을 펼쳐 백제군을 퇴각시켰다.
그러나 이후 고구려는 계속된 전쟁에 민심이 흉흉해지고, 설상가상으로 378년에는 가뭄까지 닥쳐 백성들의 삶은 더욱 힘들어졌다.
또한 고구려 북쪽에서 거란족이 성장하여 국경을 침입하여 8개 부락을 함락했다.

이렇게 백제, 거란의 침입과 가뭄이 지속되어 소수림왕의 문치주의는 집권 후반기에는 약해졌다.
이런 가운데 소수림왕의 건강이 나빠져 384년 11월, 생을 마감한다.
능은 소수림 지역에 마련하고, 묘호는 소수림왕(小獸林王)이라고 하였다.

삼국사기 소수림왕 기록

주요사건
· 불교 공인
소수림왕은 즉위 다음해인 372년 6월 전진의 승려 순도와 불상, 경문을 받아들인다.
또한 동진에도 사람을 보내 승려를 보내달라고 요청하였고, 374년 승려 아도가 고구려에 오게 되었다.
고구려는 이미 불교가 있었지만, 국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고, 궁중에서는 금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전진과 동진과의 외교관계를 고려해서 불교를 전격적으로 공인하게 되었다.
375년 최초의 절인 초문사(肖門寺)를 창건하여 순도로 하여금 초문사를 주관하게 하였고, 아불란사(伊弗蘭寺)를 창건하여 아도로 하여금 주관하게 하였다.
이는 소수림왕의 중립외교정책이고, 외교적인 안정을 이루었다.

· 태학 설립
소수림왕은 불교를 공인하던 372년 6월, 유학 교육기관인 태학을 설립한다.
태학은 국가가 공인하는 최고의 교육기관으로 중앙관료나 귀족들의 자제가 입학하는 곳이다.
이는 한국사에 최초의 학교이며, 최초의 대학이었다.
태학의 설립 기반으로 점차 체계화되어 후에는 경당이란 이름으로 정착한다.
경당은 기초교육기관으로 자리잡고, 소수림왕의 중앙집권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 율령(律令) 반포
373년 이전부터 축적되어오던 관습법을 바탕으로 율령을 반포하였다.
소수림왕은 관습법 위주로는 급변하는 국제정세를 따라잡을수 없다는 판단하여 즉위와 동시에 법을 검토하여 율령을 마련하였다.
여기서 율(律)은 형벌법, 령(令)은 행정법, 사법, 소송법등을 규정한다.
이같은 율령을 도입하여 법망을 체계화하고, 법치국가로서와 중앙집권화, 왕권강화를 이루었다.

가족관계(소수림왕 가계도)

· 왕후
왕후와 자녀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소수림왕 재위당시 삼국시대 연표

소수림왕은 전반적으로 불교공인, 태학설립, 율령반포등 안정적인 정책을 취했지만, 백제와 거란의 압박과 가뭄등 자연재해로 완성된 고구려를 이루지는 못하였다.

동시대에 백제는 근초고왕, 근구수왕, 침류왕이 재위하였고, 신라는 내물왕이 재위하였다.

고구려 왕 계보
동명성왕-유리명왕-대무신왕-민중왕-모본왕-태조왕-차대왕-신대왕-고국천왕-산상왕-동천왕-중천왕-서천왕-봉상왕-미천왕-고국원왕-소수림왕-고국양왕-광개토대왕-장수왕-문자명왕-안장왕-안원왕-양원왕-평원왕-영양왕-영류왕-보장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