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34대 효성왕(孝成王)
출생 ? ~ 742년 5월
재위 737년 2월 ~ 742년 5월(5년 3개월)
가족 부인 3명, 자녀 없음
생애
효성왕의 이름은 승경(承慶)이고 성덕왕의 둘째 아들이며, 모친은 소덕왕후(炤德王后)이다.
737년 2월, 성덕왕이 사망하자 신라 34대 왕에 올랐다.
3월, 대사면령을 내렸고, 사정부(司正府)의 승(丞)과 좌우의방부(左右議方府)의 승(丞)을 모두 좌(佐)로 개정했다.
이찬 정종을 상대등으로 아찬 의충을 중시로 삼았다.
5월, 지진이 났고, 10월에는 당에 갔던 사찬 포질이 돌아왔다.
738년(재위 2년) 2월, 당 현종이 성덕왕이 훙서(薨逝)했다는 소식을 듣고 오랫동안 애석하게 슬퍼했다.
좌찬선대부(左贊善大夫) 형숙(邢璹)을 홍려소경(鴻臚少卿) 직위를 주어 보내 가서 조문하고 제사지내게 하며 태자태보(太子太保)에 추증했다.
또, 후사를 이은 왕을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신라왕(新羅王)으로 책봉했다.
형숙이 장차 당나라로 출발하려 할 때, 황제가 시의 서문(序文)을 짓고 태자 이하 신료들 모두가 시를 지어 보내왔다.
황제가 형숙에게 말하길 "신라는 군자의 나라라고 불리는데 자못 글과 문장 알아 중국과 비슷한 점이 있다.
경은 부지런하고 정성스러운 선비이기 때문에 황제의 부절(符節)을 지니고 가게 한 것이니 마땅히 경전의 뜻을 강연(講演)하여 그들로 하여금 중국의 유교가 성대함을 알리도록 하라."
또, 그 나라 사람들은 바둑에 능하니 조서를 내려 솔부병조참군(率府兵曹參軍) 양계응(楊季膺)을 부관(副官)으로 삼았는데, 나라 안의 바둑 고수들이 모두 그의 휘하에서 나왔다.
이때 왕이 형숙 등에게 금, 보물, 약재 등을 후하게 주었다.
당에서 사신을 보내와서 조서를 내려 왕비 박씨를 책봉했다.
3월, 김원현(金元玄) 보내 당에 신년하례를 하였다.
4월, 당 사신 형숙이 노자의 도덕경(道德經) 등 책을 왕에게 바쳤다.
흰 무지개가 해를 관통(貫通)했고 소부리군(所夫里郡)의 강물이 핏빛으로 변했다.
739년(재위 3년) 정월, 선조들을 모신 사당에 참배했고, 중시 의충이 죽어 이찬 신충을 중시로 삼았다.
선천궁(善天宮)이 낙성되었고, 왕이 형숙에게 황금 30냥, 베 50필, 인삼 100근을 하사했다.
2월, 왕의 동생 헌영(憲英, 경덕왕)을 파진찬으로 삼았다.
3월, 이찬 순원의 딸 혜명(惠明)을 왕비로 삼아 맞이했다.
5월, 파진찬 헌영을 태자로 책봉했다.
9월, 완산주에서 흰 까치를 진상했다.
여우가 월성 궁 안에서 울었는데 개가 그 여우를 물어 죽였다.
740년(재위 4년) 3월, 당에서 사신을 보내 부인 김씨를 왕비로 책봉했다.
5월, 진성(鎭星)이 헌원대성(軒轅大星)을 범했다.
7월, 주홍색 옷을 입은 여성이 예교(隷橋) 아래에서 나와 조정의 정치를 비방(誹謗)했는데, 효신공(孝信公)의 대문을 지나 홀연히 보이지 않았다.
8월, 파진찬 영종(永宗)이 모반을 꾀하여 주살되었다.
741년(재위 5년) 4월, 대신 정종과 사인에게 명하여 쇠뇌병들을 사열하게 했다.
742년 2월, 나라 동북쪽에 지진이 났고 그 소리가 천둥과 같았다.
5월, 유성이 삼대성(參大星)을 범했다.
왕이 돌아가셨다. 시호는 효성(孝成)이다.
유언에 따라 법류사(法流寺) 남쪽에서 관을 불태우고 유골을 동해에 뿌렸다.
가족관계(효성왕 가계도)
· 왕비 박씨
효성왕이 왕위에 오르기전에 시집와서 후에 왕비에 책봉되었다.
하지만 이듬해인 739년에 출궁당했다.
· 혜명왕후 김씨
이찬 순원의 딸. 739년 3월, 왕비에 책봉되었다.
하지만, 효성왕은 혜명왕후보다 영종의 딸을 총애하였다.
· 후비
파진찬 영종의 딸.
효성왕이 후비를 총애하자, 혜명왕후측은 후비를 제거하려 하였고, 이에 영종은 모반을 꾀하다 후비와 함께 죽임을 당하였다.
주요사건
· 파진찬 영종의 모반
740년 8월, 파진찬 영종(永宗)이 모반을 꾀하여 주살되었다.
이전에 영종의 딸을 후궁으로 들여 왕이 그녀를 매우 총애했다.
두터운 은혜가 날이 갈수록 심해지자 왕비가 질투(嫉妬)하며 친척들과 모의하여 그녀를 죽였다.
영종은 왕비의 일족을 원망했고 그로 인하여 이때 모반했던 것이다.
효성왕 재위당시 통일신라 연표
효성왕은 즉위후 왕권이 약했다.
왕비 박씨를 출궁시키고 이찬 순원의 딸을 왕비로 책봉하고, 후비세력인 파진찬 영종마저 모반으로 죽임을 당했다.
즉, 혜명왕후 세력에 의해 왕의 입지가 좁았으며, 또한 사후 능도 조성하지 못하고 유골이 동해에 뿌려진것도 석연찮다.
신라 왕 계보
혁거세 거서간-남해 차차웅-유리 이사금-탈해 이사금-파사 이사금-지마 이사금-일성 이사금-아달라 이사금-벌휴 이사금-내해 이사금-조분 이사금-첨해 이사금-미추 이사금-유례 이사금-기림 이사금-흘해 이사금-내물 이사금-실성 이사금-눌지 마립간-자비 마립간-소지 마립간-지증 마립간-법흥왕-진흥왕-진지왕-진평왕-선덕여왕-진덕여왕-태종 무열왕-문무왕-신문왕-효소왕-성덕왕-효성왕-경덕왕-혜공왕-선덕왕-원성왕-소성왕-애장왕-헌덕왕-흥덕왕-희강왕-민애왕-신무왕-문성왕-헌안왕-경문왕-헌강왕-정강왕-진성여왕-효공왕-신덕왕-경명왕-경애왕-경순왕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 33대 성덕왕(聖德王) (0) | 2025.04.10 |
---|---|
[신라] 32대 효소왕(孝昭王) (0) | 2025.04.09 |
[신라] 31대 신문왕(神文王) (0) | 2025.04.04 |
[신라] 30대 문무왕(文武王) (0) | 2025.04.03 |
[신라] 29대 태종 무열왕(太宗 武烈王)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