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17

[신라] 32대 효소왕(孝昭王) 신라 32대 효소왕(孝昭王) 출생 ? ~ 702년 7월 재위 692년 7월 ~ 702년 7월(10년) 가족 기록없음 생애 효소왕(孝昭王)의 이름은 이홍(理洪) 또는 공(恭)이고, 신문왕의 태자이다.  모친은 김씨로 신목왕후이며 일길찬 김흠운(金歆運)의 딸이다. 692년 7월, 신문왕이 사망하자 신라 32대 왕에 올랐다. 당 측천무후가 사신을 파견해 조문(弔問)하고 제사(祭祀) 지냈다.  왕을 신라왕(新羅王) 보국대장군(輔國大將軍) 행좌표도위대장군(行左豹韜尉大將軍) 계림주도독(雞林州都督)으로 책봉하여 관작을 그대로 물려받게 했다. ​좌우이방부(左右理方府)를 좌우의방부(左右議方府)로 이름을 고쳤다. 이는 왕의 존함을 범하기 때문이다.  8월, 대아찬 원선(元宣)을 중시로 삼았다.  고승 도증(道證)이 당나라.. 2025. 4. 9.
[드라마] 마녀 마녀 장르 드라마, 미스터리 개봉 2025. 02. 15. ~ 03. 16.(10부작) 등급 15세이상 시청가 연출 김태균 평점 6.7/10.0 출연 박진영, 노정의, 임재혁 줄거리 '마녀'라 불리는 그녀. 그녀에게 다가가면 죽는다 처음에는 호기심과 동경의 감정이었지만, 미정의 세계를 받아들이며 연민을 품게 된 동진. 자신에게 다가오는 사람들이 모두 비극적인 일을 겪자 죄책감에 세상으로부터 도망친 미정. 죽음의 법칙을 깨기 위해 자신의 삶을 내던진 남자와 사실은 누군가에게 기억되고 싶었던 여자, 포기하지 않는 여정 끝에 서로의 구원이 되는 이들의 이야기 박진영(이동진 역) | 샤인솔류션 데이터마이너 동진은 고등학교 시절, ‘마녀’라고 불리며 그녀에게 다가가는 남자는 모두 죽거나 다친다는 불행한 소문의 주.. 2025. 4. 8.
[주간 해외뉴스] 2025년 4월 첫째주 해외뉴스 2025년 4월 첫째주 해외뉴스3월 30일 ~ 4월 5일 선진국이든 후진국이든 사건·사고가 없는 국가는 없습니다. 국가마다 사건·사고등 부정적인 기사를 포스팅하는 이유는 우리나라가 헬조선이 아니라 어느국가나 다 비슷하고, 지구상에 파라다이스는 없습니다.  [한국] 헌재 전원일치 尹 파면…"국민신임 배반한 용납불가 중대위법"(종합2보) 지난주에 헌재의 대통령 파면이 결정되었다. 스마트시대에 계엄이라니... 그렇게 반국가세력이라고 떠들더니 본인이 반국가세력이었네. 역대 보수당의 이력을 보면,  이승만(3.15 부정선거, 하야)-박정희(독재정권, 총맞고 사망)-전두환(반란수괴, 사형·무기징역형 선고)-노태우(내란주모, 징역 17년형 선고)-이명박(전과 13범, 징역 17년형 선고)-박근혜(국정농단, 징역 27.. 2025. 4. 7.
[정치] 탄핵 인용[彈劾 認容] 탄핵 인용[彈劾 認容]2025년 4월 4일, 헌법재판소에서 헌법재판관 전원일치로 탄핵이 인용되었다. 2024년 12월 3일, 윤석열의 불법 비상계엄을 시작으로, 2024년 12월 14일, 탄핵이 국회에서 찬성 204표로 가결되었다. 그리고 4달여만인 오늘 탄핵인용이 결정된것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의 세번째 탄핵판결이 이루어졌고, 1번(노무현)의 기각과 2번(박근혜, 윤석열)의 인용이 되었다. 8:0 전원일치 판결로 결정이 났지만, 이토록 늦어진것은 아마도 이재명 2심선고 결과를 기다린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번 탄핵인용으로 해결해야 될 법적문제도 많다. 또다시 대통령 탄핵이 나와서도 안되지만, 이번 탄핵이후 여러 법적 조항이 없어 논란이 많았다. 대통령 직무대행의 탄핵 정족수 문제, 헌법재판관 임명 여부등.. 2025. 4. 4.
[신라] 31대 신문왕(神文王) 신라 31대 신문왕(神文王) 출생 ? ~ 692년 7월 재위 681년 7월 ~ 692년 7월(11년) 가족 부인 2명, 자녀 4남 생애 신문왕의 이름은 정명(政明), 자(字)는 일초(日怊)이다. 문무대왕의 맏아들로 모친은 자의왕후(慈儀王后)이고, 왕비는 김씨로 소판(蘇判) 흠돌(欽突)의 딸이다.  왕이 태자였을 때 그녀를 맞이했고 오랫동안 아들이 없었다. 이후에 부친이 난을 일으킨 것에 연좌(緣坐)되어 궁에서 쫓겨났다.  문무왕 5년(665)에 태자가 되었고, 이때에 이르러 뒤를 이어 즉위했다.  당 고종이 사신을 파견하여 신라왕으로 책봉하고 선왕의 관작을 그대로 물려받게 했다. 681년(​재위 원년) 8월, 서불한 진복(眞福)을 상대등으로 제수했다.   8일, 소판 김흠돌, 파진찬 흥원, 대아찬 진공 .. 2025. 4. 4.
[신라] 30대 문무왕(文武王) 신라 30대 문무왕(文武王) 출생 ? ~ 661년 6월 재위 661년 6월 ~ 681년 7월(20년 1개월) 가족 부인 3명, 자녀 3남 생애 문무왕의 이름은 법민이고 태종 무열왕의 맏아들이다. 661년 6월, 태종 무열왕이 사망하자 신라 30대 왕에 올랐다. 모친은 김씨 문명왕후이고, 소판(蘇判) 서현의 막내딸이며, 김유신의 누이이다.   그의 언니가 꿈에 서형산(西兄山) 정상에 올라서 앉아 오줌을 누었는데 나라 안에 두루 흘렀다.  깨어나서 막내에게 꿈을 말하자 막내가 장난치며 말하길 "내가 언니의 이 꿈을 살게" 그리하여 비단 치마를 주고 값을 치렀다.  여러 날 뒤에 유신이 춘추공과 함께 축국(蹴鞠)을 하다가 그를 밟아 옷의 단추가 떨어졌다.  유신이 말하길 "우리 집이 다행히도 가까이에 있으니 .. 2025. 4. 3.